卍 불교 공부 卍90 불자의 삶 불자의 삶 일일시호일 (日日時好日) 날마다 매일 좋은 날 만듬 지식을 작위 (作爲) 로 행 (行) 함이라! 앎을 실천 (実踐) 할때이다. 그러므로 행복 (行福) 은 실천 (実踐) 이 곧 깨달음이다. 이치를 실행 (実行) 함이다. 삶이 행복으로 증명 (證明) 된다. 고통과 해결 1, 생각을 조심하라! 그것이 말이 된다. 2, 말을 조심하라! 그것이 행동이 된다. 3, 행동을 조심하라! 그것이 버릇이 된다. 4, 버릇을 조심하라! 그것이 인연이 된다. 5, 인연을 조심하라! 그것이 행복과 불행을 좌우 된다. 부처님 말씀 1, 마음을 바꾸면 행동 (行動) 이 바뀌고 2, 행동을 바꾸면 습관 (習慣) 이 바뀌고 3, 습관이 바꾸면 인격 (人格) 이 바뀌고 4,인격을 바꾸면 운명 (運命) .. 2019. 4. 29. 문수동자게 문수동자게 (文殊童子偈) 면상무진공양구 (面上無嗔供養具) 1.성 안내는 그 얼굴이 참다운 공양구요, 구리무진토묘향 (口裡無嗔吐妙香) 부드러운 말한마디 미묘한 향이로다. 심리무진시진실 (心裡無嗔是眞實) 깨끗이 티가 없는 진실한 그 마음이 무염무구시진상 (無染無垢是眞常) 언제나.. 2018. 11. 5. 경주 기림사 주련 주련이란? 사찰 기둥이나 벽에 한문을 장식으로 글을 써서 붙이는 글귀를 주련 (柱聯) 이라 합니다. (天王門 柱聯) 천왕문 주련 擁護聖衆滿虛空 옹호성중만허공 都在毫光一道中 도재호광일도중 信受佛語常擁護 신수불어상옹호 奉行經典永流通 봉행경전영유통 허공 중에 가득한 옹호.. 2018. 10. 14. 법륜 (法輪) 법륜 (法輪) 재래 인도의 왕등이 금륜 (金輪), 은륜 (銀輪), 동륜 (銅輪) 등의 수레바퀴를 통하여 세계를 정복하였는데 부처님께서는 진리의 수레바퀴로서 세계를 정복한다는 뜻으로 쓰고 있다. 2016. 11. 10. " 卍 (만) " 자의 의미? " 卍 (만) " 자의 의미? 원래는 태양의 광명을 상징한 글자였으나 불교에서는 일심의 서기방광에 비유하였고 부처님의 가슴과 손발 머리에 나타난 길상 (吉祥), 행운 (幸運), 경복 (慶福) 의 마크로 사용하였다. 2016. 11. 10. 불교에서 말하는 10 재일 불교에서 말하는 10 재일 재일 (齋日) 재 (齋) 란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는 것을 말합니다.불교에서는 열심히 수행하는 것, 혹은 법회에 사용한 공양물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일정팔약십사연 (一錠八藥十四燃) 이요, 초하루 (정광여래불 재일) 8일은 (약사여래불 재일) 14일은 (현.. 2016. 3. 2. 삼재팔난 (三災八難) 삼재 (三災) 익숙하도록 들어온 말이 삼재일것이다. 삼재라는 말이 만만해서 그런지 몰라도 걸핏하면 삼재탓을 한다. 삼재 기간 동안에는 남에게 욕을 얻어 먹어도, 일이 잘 안 풀려도, 일이 꼬이고, 도둑을 만나도, 부부싸움을 해도, 몸이 아파도, 구설만 들어도, 시비가 생겨도 삼재 탓을 .. 2015. 12. 13. 육신통 (六神通) 육신통 (六神通) 부처님이 가지고 있는 위신력 (威神力), 즉 뛰어난 지혜와 능력인 사지 (四智), 육신통 (六神通), 십팔불공법 (十八佛共法) 중의 하나이다. 천안통 (天眼通) 육안으로 볼 수 없는 것을 보는 능력 천이통 (天耳通) 보통 귀로는 듣지 못할 소리를 듣는 능력 타심통 (.. 2015. 12. 8. 십이연기 십이연기 불교는 인간이 죽음을 포함한 모든 고뇌에서 벗어나는 문제에 대해 명백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즉 인간의 근본적인 고뇌 (八苦) 는 숙명적이거나 우연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무지가 원인이 되어 받게 되는 필연적인 결과라는 것입니다. 래서 이 연기에 따라 고의 원인을 .. 2015. 12. 7. 중생들의 여덟 가지 괴로움 중생들의 여덟 가지 괴로움 1, 태어나는 괴로움- 생고 (生苦) 2, 늙는 괴로움- 노고 (老苦) 3, 앓는 괴로움- 병고 (病苦) 4, 죽는 괴로움- 사고 (死苦) 5, 싫어하는 것과 만나는 괴로움- 원증회고 (怨憎會苦) 6, 좋아하는 것과 헤어지는 괴로움- 애별리고 (愛別離苦) 7, 원하지만 얻지 못하는 괴로움.. 2015. 11. 24. 이전 1 2 3 4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