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수가 가족이 되다.
세상에는 원수 같은 자식도 있고
원수 같은 부모도 있습니다.
가족이라면 세상에서 가장 가까운 관계인데
어째서 그렇게 만나게 될까요?
오랜 세월 셀 수 없는 세월 동안의
깊은 인연이 있어야 가족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좋은 인연만 가족이 되는 게 아니라
악연이 가족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원수가 더 큰 괴로움을 주기 위해
가족으로 태어나는 경우도 있다는 말입니다.
조선시대 말 충청도의 한 고갯마루에서
자식도 없는 내외가 조그마한 주막을 차려
근근이 살림을 꾸려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어쩐 일인지 어느 날 갑자기
큰 기와집과 논밭을 사들여
마을 안의 제일 부자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없던 자식도 해마다 낳아
슬하에 세 아들을 두게 되었습니다.
그들 부부는 금이야 옥이야 하면서
아들을 키웠고
글 공부도 많이 시켰습니다.
세 아들은 모두 과거에 응시해
한꺼번에 급제하였습니다.
과거에 급제한 세 아들이 한양에서
돌아오는 날 내외는 잔칫상을
차려놓고 마을 사람들과 기다렸습니다.
마침내 세 아들은 마을 어귀로 들어섰고
부모와 마을 사람들은
환호하여 아들을 영접하였습니다.
아들들은 부모님께 절을 올리려고
말에서 내렸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셋 모두가 발을 헛디뎌
땅바닥에 굴러 떨어지더니
아들 셋이 모두 죽고 말았습니다.
순식간에 잔칫집이
초상집으로 바뀌었습니다.
두 내외는 청천벽력 같은 이 일이
귀신 때문이라 생각하고
고을 원님을 찾아가 아들들의 원수를
갚아달라고 애원했습니다.
원님은 이들 내외를 위로하고 보낸 후
측은한 마음이 떠나지 않아
귀신을 불러 물어보리라!
생각하고 이방을 불렸습니다.
"이방은 쌀을 일곱 번 쓸고
일곱 번 씻어 밥을 지은 다음 밥상을 차려
방죽 옆의 다리 위에 차려 놓아라!"
이어서 원님은 편지를 한 장 써서
담력이 큰 사령에게 주며 말했습니다.
"오늘 밤 자정에 방죽 옆의 다리로 가면
밥상을 받고 있는 늙은이들이 있을 것이니
그 분들에게 이 편지를 전해드려라!"
자정이 되어 사령이 다리로 나가자
과연 노인장 세 분이
밥상에 옆에 앉아 있었습니다.
사령이 원님의 편지를 전하자
노인장들은 편지를 읽고
자리에서 일어서며 말했습니다.
"시장하던 차에 대접도 잘 받았고
이 고을에 왔으니
원님을 만나보고 가는 것도 좋겠군!"
그리고는 담이 큰 사령을 따라 왔습니다.
원님은 그들을 방안으로 모신 다음 따졌습니다.
"아무리 사람의 목숨을 다루는
염라대왕의 사자라고는 하지만
이제 막 과거에 급제한 꽃다운 목숨을
셋 씩이나 한꺼번에 앗아가더니!
그렇게 사람의 목숨을
함부로 다루어도 됩니까?"
"허허, 사실은 세 젊은이가 전생의 원수인
부모에게 복수를 하기 위해 죽은 것이외다.
20여 년 전의 일입니다.
유기장수 세 사람이 고갯마루의
주막집에서 하룻밤을 묵었을 때
주인 내외가 한밤중에 그들을 죽여
돈을 빼앗고 시체는 마구간 밑에 묻었지요.
주막집 내외는 부자가 되었고
원통하게 죽은 세 유기장사는 원수를 갚기 위해
주막집 내외의 아들로 태어났던 것입니다.
이 말을 마치고
세 늙은이는 자취를 감추었습니다.
원님은 날이 밝기가 무섭게 사령들을
파견하여 고갯마루 주막집의
마구간 밑을 파헤쳐 보도록 하였습니다.
과연 염라대왕 사자들이 말한대로
마구간 밑에는 시체 세 구가
썩지도 않은 채 있었습니다.
원님은 곧 두 내외를 잡아들여
죄를 자백 받고 그들을 처벌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내려 옵니다.
우리는 오랜 영접의 세월 동안
많은 업을 지으며 살아왔습니다.
그 중에는 가장 오래 시간을 함께 보낸
가족관계 속에서 지은 업이 가장 많습니다.
가족 사이에는 좋은 업도 있지만
크고 작은 나쁜 업을 많이 지으며 삽니다.
그 업이 또 미래의 관계를 만드는 것입니다.
만약 가족 중에 속을 썩이는 사람이 있다면
분명 전생의 업을 갚으라고 찾아온 인연일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가족으로
맺은 인연을 잘 갈무리해야 합니다.
항상 참회하는
마음으로 가족을 대해야 합니다.
맺힌 것이 있으면 풀고
좋은 인연이라도 늘 조심하여
말과 행동을 잘 다스려야 합니다.
가족이라고 함부로 하면 다음 생에
또 다시 나쁜 인연으로 만나게 됩니다.
=혜총 스님 법문=
- 공양 올리는 마음 도서에서-
ilcheyusimjo108 올립니다._()_
공감 보시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卍 향기로운 가르침 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기법의 고마움 (0) | 2020.12.31 |
---|---|
두 개의 갈대단 (0) | 2020.12.30 |
염라대왕과의 약속 (0) | 2020.12.30 |
인과는 분명해 부인할 수 없다. (0) | 2020.12.29 |
자살은 고통의 탈출구가 아니다. (0) | 2020.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