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당의 구조
① 상단(上壇)
법당의 어간문에서 바라볼 때
정면에 가장 높은 단상을 설치하고
그 중앙에 부처님상을 모시는데
이 단상을 상단이라고 하며,
부처님과 보살상을 모셨기 때문에
불보살단(佛菩薩壇)이라고 합니다.
혹은 줄여 불단(佛壇)이라고 합니다.
이 상단에는 그 절의 본존불상과
후불탱화를 모시는게 상례입니다.
② 중단(中壇)
호법을 발원한 선신들을 모신
신장단(神將壇)을 중단이라고 합니다.
여러 신장님을 모신 단상이기 때문에
신중단(神中壇)이라고도 합니다.
제석천이나 사천왕, 대범천 등의 천상 신중과
천, 용, 야차, 건달바, 아수라, 긴나라, 가루마, 마후라 등
팔부신장 등을 모신 곳입니다.
또한 우리 민속신앙에 의해
칠성과 산신이 모셔져 있기도 합니다.
③ 영단(靈壇)
영가(靈駕)의 위패가 모셔진 단상이며,
후불탱화로서 통상 아미타여래영도와
감로탱화가 모셔져 있으며
이곳을 하단(下壇)이라고도 합니다.
'卍 불교 공부 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불의식 (灌佛儀式) (0) | 2015.05.05 |
---|---|
초파일 연등 공양의 의미 (0) | 2015.05.05 |
연꽃의 10가지 특징 (0) | 2015.05.05 |
동지기도의 의미 (0) | 2015.05.05 |
십주(十住) (0) | 2015.05.05 |
댓글0